음주・흡연・매운 음식 피하세요!

가족 중에 위암 환자가 있으면 더 위험

김생수 기자 | 기사입력 2016/06/27 [18:29]

음주・흡연・매운 음식 피하세요!

가족 중에 위암 환자가 있으면 더 위험

김생수 기자 | 입력 : 2016/06/27 [18:29]

- 위암 환자군 1,058명, 위암이 아닌 환자군 1천268명 대상, 직계가족력 유무에 따른 비교
- 2006년 3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약 9년 7개월여에 걸친 장기간 연구
- 위암 직계가족이 1명인 경우와 2명 이상인 경우, 위암 직계가족이 가족 중 누구인지 등에 따른 다양한 비교 통해 다양한 위험인자 발견해
- 위암 직계가족이 두 명 이상인 경우, 소주 두 병 이상의 과다음주자의 위암 발병 위험도 55배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흡연, 거주 지역, 성별 등에서 위암 직계가족 수에 따른 위암 발생 위험도 차이 커

[분당신문] 얼마 전 속이 좋지 않아 내시경 검사를 받게 된 A씨는 위암으로 돌아가신 아버지가 생각나 마음이 편치 않다. 가족 중에 위암 환자가 있으면 위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기사들을 접한 데다 위암이 전염된다는 괴소문까지 들었기 때문이다. 도대체 어디까지가 사실일까?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연구팀(김나영, 최윤진 교수 등)이 9년 7개월여에 걸쳐 병원에 방문한 환자 약 2천300여 명의 데이터를 심층 분석해 이에 대한 해답을 내놨다. 바로 “위험요인을 피하면 된다”는 것. 물론 위암이 전염된다는 소문 역시 전혀 사실이 아니다.

   
 
김 교수팀이 이번에 발표한 위암 직계가족의 발병 위험인자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분석되어 있는데, 혈액형과 성별 · 연령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여부 등 16개나 되는 변수를 위암 환자군과 위암이 아닌 환자군, 그리고 이 중에서 위암 직계 가족력이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 그리고 다시 위암 직계가족 환자가 몇 명 인지까지 나눠 연구했기 때문이다. 가족 중에 위암 환자가 있는 경우 누구라도 이번 연구 결과를 본인의 상황에 대입해 위암 발병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위암 직계가족이 한 명인 경우에 위암이 발병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비교한 결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여부를 제외한 변수들의 위험도는 2.5배를 넘지 못했다. 그러나 위암 직계가족이 두 명 이상인 경우 남성은 여성에 비해 약 5.87배, 시골 거주자는 도시 거주자에 비해 7.54배, 흡연자 6.58배, 매운 음식 선호자 7.64배, 그리고 다량 음주자는 무려 9.58배에 달하는 위험도를 보였다.

   
 
특이한 것은 시골 거주자의 위암 발생 위험도가 높다는 것인데, 이는 대체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감염이 관련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김나영 교수는 “헬리코박터균은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시골에서 더 잘 감염되는데, 성인이 되어 도시 생활을 하더라도 주로 5세 미만의 시기에 감염이 일어나는 헬리코박터 균에 이미 노출이 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위험도 측면에서 가장 눈에 띄는 수치를 보인 음주와 관련해서는 알콜 섭취량에 따라서도 큰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위암 직계 가족이 2명 이상인 환자 중 1주일에 소주 2병 이상을 마시는 과다 음주자의 경우 위암 발생 위험도가 자그마치 55배에 이르러 금주 · 절주가 필수적인 위암 예방 대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거 음주력도 위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되도록 빨리 알콜 섭취를 줄여야 위험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족 구성원 중 누가 위암 환자인지에 따라서도 흥미로운 결과가 도출됐다. 어머니가 위암 직계가족인 경우 가족 중 위암 환자가 많을 가능성이 높았고, 실제로 위암에 걸린 가족의 수 평균 역시 아버지나 형제 · 자매 등이 위암 직계가족일 경우보다 많았다. 외국 연구에서도 모계 위암 이력이 위암 발생에 더 큰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위암 발병에 영향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식생활’에 어머니가 다른 가족에 비해 더 큰 영향력을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연구를 총괄한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는 “위암에 걸린 가족이 있는 환자의 경우 불안감을 호소하면서도 도움이 될 만한 ‘건강행동’을 취할 근거가 부족했는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가장 강력한 위암 발생 위험요인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제균하는 것과, 음주 등 식생활을 적극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위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