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신문] 머니투데이와 케이스탯 공공사회정책연구소,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성신여대 데이터사이언스센터가 지난 20일 전국 시·도별 '2024 사회안전지수(Korea Security Index 2024)-살기좋은 지역'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회안전지수는 △경제활동 △생활안전 △건강보건 △주거환경 등 크게 4개 분야(차원)의 정량지표와 주민 설문조사 결과인 정성지표를 합산해 산출한다고 했다. 특히, 올해 사회안전지수 평가 대상은 전국 17개 시·도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62개 시·군·구였다.
성남이 속해 있는 안전지수 순위는 광역지방자치단체가 아니라, 별도로 평가한 수도권 62개 시·군·구가 대상이었다. 즉, 여기에는 서울이 포함됐다. 그런데 조정식 의원이 배포한 보도자료에는 성남시 안전지수가 '경기권 11위'를 차지했다고 보고 있다. 수차례 수정을 거쳐서 배포한 것임에도 수도권과 경기도의 차이를 간과하고 말았다.
조 의원은 이렇게 순위가 떨어진 탓을 신상진 시장에게 몰아 붙였다. 신 시장 출범 이후 성남시 안전지수가 크게 후퇴했고, 이로 인해 성남시민들의 자존심에고 큰 상처를 남긴 것으로 봤다.
하지만,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라는 말이 있다. 자세히 들어다 봤어야 한다. 안전지수 평가에서 경기지역은 29개 시군만 속한다. 나머지는 서울시 자치구를 포함한 순위다. 이처럼 서울시를 포함한 전체 62개 시군구에서 성남시는 11위를 차지했다. 성남시 보다 위에 있는 경기도내 시·군으로는 과천시(1위), 하남시(4위), 안양시(5위), 의왕시(6위), 구리시(7위), 화성시(8위), 군포시(9위)가 있다. 도내 순위는 8위가 맞는 셈이다.
좀더 깊게 살펴보자. 성남시보다 앞선 7개 시중에서 성남보다 인구 규모와 재정규모가 큰 도시가 있는지 살펴야 한다. 오히려, 성남시와 비슷한 규모의 고양시(17위), 수원시(20위), 용인시(22위), 부천시(30위) 등은 모두 뒤처져 있다. 심지어, 해당 언론사는 '성남은 정성지표(61.76점)에서 수도권 전체 7위에 랭크돼 주민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칭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안전지수 차원별 점수를 살펴보면 성남시는 경제활동(59.47점)에서 도내 순위는 9위다. 생활안전(58.16점)은 11위, 건강보건(60.61점)은 2위, 주거환경(51.24점)은 22위까지 떨어졌다. 결국, 성남의 안전지수 점수를 깎아먹고 있는 분야는 주거환경과 생활안전 분야였다. 최근 발생한 정자보도교와 서현역 갈부림 사건 등과 재건축 재개발 붐이 일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조정식 의원의 보도자료에서 '경기도내'라는 말을 '수도권' 또는 '전국'이라고 바꾸면 된다. 성남시는 작년(2023년) 전국 순위 5위를 기록했고, 올해는 수도권 순위에서 조차 11위로 떨어졌다.
이를 조 의원은 "성남시는 조사 첫해인 2021년 58.60점을 기록하며 경기도내 23위로 시작했지만, 다음해 2022년에는 59.46점을 받아 경기권 4위의 성적을 거두었고 2023년에도 59.37점으로 5위를 기록 우수한 결과를 거둔 바 있다"고 했다.
이 역시도 잘못된 정보다. 2021년 순위를 보면 성남시는 전국 23위다. 수도권에서는 과천시 다음이었다. 이어 2022년도 마찬가지다. 성남시는 전국적으로 과천시, 서초구, 세종시 다음으로 4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역시 성남시는 과천시, 세종특별자치시, 서울 서초구, 서울 종로구 다음 5위였다. 조 의원이 생각한 것보다 더 떨어졌다고 봐야 한다.
올해 성남시는 서울과 경기도를 포함한 평가에서 11위를 기록했다. 예전에는 순위에 들지 못했던 하남시, 안양시, 의왕시 구리시, 화성시, 군포시 등이 성남을 앞질렀다. 이에 대해 신문은 "이들 지역은 경제활동과 생활안전분야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며 "서울과 인접해 젊은 인구가 유입되고 업무지구가 늘어나는 도시들의 점수가 눈에 띈다"고 봤다. 반대로 성남은 이들 분야에서 취약해지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시급하다는 충고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