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남시민
2015/08/20 [17:08]
- 살아있다는 지역인터넷신문이라고 느끼는건 그래도 분당신문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일인입니다. 한해한해 조금씩 발전하는 모습을 자알~ 보고 있어요.
-
시사평론가이재명OUT
2015/08/21 [12:08]
- 덩치가 커지면
성남시가 소송할텐데
과연 성남시내 인터넷 언론이 버틸수 있을까
가장 덩치가 큰 아름방송 마저
성남시 기사를 쓰기보다는 경기도 뉴스를 많이 내보낸다
5년전 아름방송과 성남인터넷 언론이 어땠는가
인구 백만의 성남 뉴스가 넘쳐낫다
지금은 그냥 성남시 보도자료 받아쓰는 신세로 전락
인터넷 언론이 통합하기 보다는
공동 취재단 형식으로 운영햇으면
한개 신문사는 특종을 인정해주고
후발 신문사는 보강취재해서 보도해주는 방식도 있을듯합니다
*.신문사별로 트정 지역[수정.중원.분당]과 관공서[보건소.소방서.경찰서]를 배분하는 방식도 있고요
*.성남시와 시의회.각 정당 개별 취재하고요
*.각종 지역사회 활동도 신문사별로 개별 취재
-
분당신문홧팅
2015/08/22 [09:08]
- 기레기만 안되어도 그나마 다행입죠. 현 상황에서 무슨 말을 합네까. 다들 떡고물에 현혹돼서 그러저러 받아먹고 입다물고 있는데...ㅉㅉㅉ 그나마 분당신문은 할말은 쪼금 하려고 하는 모습이 보입네다.
-
인터넷신문
2015/08/23 [22:08]
- 6000여개에 달하는 인터넷신문 등록이 현행 제도를 대폭 손질해 문턱이 높아질 전망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현행 취재·편집 인력 3명의 명의만 제출하면 인터넷신문으로 등록할 수 있는 제도를 대폭 손질해 현행 인터넷신문 등록제 요건인 취재인력 2명 이상을 '취재인력 3명 이상'으로, 취재·편집인력 3명 이상을 '취재·편집인력 5명 이상'으로 늘리기로 했다.
더욱이 등록을 위해 기존에 단순히 취재·편집 담당자 명부만 제출하면 됐던 요건은 '취재·편집 담당자의 상시고용을 증명할 수 있는 국민연금·건강보험·산재보험 중 한 가지 이상의 가입내역 확인서'로 바뀐다.
문체부는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신문법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해 21일부터 오는 10월 1일까지 40일간 입법예고하고 12월 공포한다고 밝혔다.
인터넷신문은 2005년 200여개에 불과했는데 매년 평균 1000여개씩 증가해 현재 6000개가 넘는다. 현행 인터넷신문 등록제는 선정적인 광고와 어뷰징(동일기사 반복전송)을 일삼고 불합리한 광고와 협찬을 요구하는 유사언론의 난립을 조장하는 등 제도의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많았다.
아울러 이번 시행령 개정안에는 인터넷신문·서비스 사업자가 청소년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공개해야 한다는 내용이 신설됐다. 이 조항을 위반하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해당 매체에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
2013년 여성가족부가 인터넷신문 청소년유해광고 유통현황을 점검한 결과를 보면 인터넷신문으로 등록된 매체 3천764개 가운데 210곳에서 791건의 유해성 광고물이 발견됐다.
문체부가 입법예고한 대로 시행령만 개정되더라도 현재 무분별하게 난립하는 인터넷신문과 유사 언론 문제가 상당 부분 해결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체부 관계자는 "입법예고 기간에 언론단체, 각 부처, 지자체 등 관련기관의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며 "이후 규제개혁위원회 심사, 법제처 심사, 국무회의 등을 거쳐 올해 12월께 개정한 제도를 공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체부는 인터넷신문 등록 사업자가 새로운 등록제 요건에 적응할 수 있도록 개정된 제도를 공포하고 나서 시행에 1년간의 유예기간을, 청소년보호책임자 공개 조항은 공포 후 6개월간의 유예기간을 두기로 했다.
-
언론 전공 대학생
2015/08/24 [10:08]
- 현재 등록기준도 제대로 못지키면서 더 강화시킨다면 인터넷신문 종사자들을 범법자로 만든다는 것밖에는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제도적 보완의 통해 언론의 활성화를 꾀해야 문화체육관광부가 오히려 언론을 옥죄려 하다니. 이를 좋다고 기사로 쓴 아래 글은 자기 이기주의에 불과합니다.
이런 상황임에도 아무런 반응이 없는 성남지역의 인터넷신문도 이상할 따름이네요.
-
웃기네
2015/08/24 [10:08]
- 네이버에 검색되는 인터넷신문사들의 선정적인 광고행위 때문에 쪼끄만 지역언론까지도 제도에 걸려들었네요. 이런 잣대로 들이대면, 그들이 얻으려는 효과가 나올까요? 두고볼일. 관내 광고를 따먹기 언론보다는 양질의 지역현안을 다뤄주는 언론이 시급하다고 봅니다. 기사도 못쓰는 지역언론이 태반! 이건 뭐 양아치 수준이나 다름없지요. 나중에는 성남시에도 지역언론이라고 해서 조잡한(?) 곳은 정리좀 되겠군요.
-
한때 기자
2015/08/24 [10:08]
- 예나 지금이나 다를게 없는 성남지역언론인들이여~ 언론사 본연의 임무를 다하는게 우선이다. 개나소나 홈페이지 만들어서 운영하는 목적이 무엇이냐. 스스로가 변화하지 않으면 개인블로그 운영하는것과 무엇이 틀리단 말이냐! 지역언론의 통합제안? 성남에서 그런게 될까? 고민들 해보시오. 그리고 4주년 축하하고 더욱 분발하는 분당신문 되시오.
-
언론인
2015/09/10 [16:09]
- 지역언론 통합을 제안하며 언론쪽 애기만 해야지 경제,정치까지 계란말이로 할필요 있을까?
필자에 위치가 어디쯤 와있는지 생각도 해보고 필자 본인 스스로 혹시나 잘난체만 하는것 아닌가도 생각도
해보고 뒤에서 몇사람 모여 놓고 조정했던 기억은 없는지도 생각해보고 필자본인 이익만 살짝 챙긴것은 없는지도 생각해보고 도토리 키재기는 아닌지도 필자 스스로 낮은마음은 갖는 생각은 어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