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당신문이 3년 9개월만에 기사 누적건수 1만 건을 돌파했다. 이는 지역 인터넷 언론사중 6번째 해당하는 수치다. |
흔한 말로 ‘복사(Ctrl C)’와 ‘붙이기(Ctrl V)’를 무한반복하면 하루에 쏟아지는 ‘보도자료’를 모두 기사화 할 수 있는 마법이 있다. 대부분의 성남지역 인터넷 언론사가 이에 해당한다고 보면 옳다. 이를 아니라고 거부할 언론사는 없을 것이다. 이런 의미로 볼 때 복사와 붙이기를 반복하는 ‘보도자료 모음집’을 만드는 것도 수고로움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렇다면 지역 인터넷 언론 중에 기사 누적 건수가 1만 건을 넘기는 언론사는 몇 곳일지 궁금해진다. 성남시의회 홈페이지 ‘언론기관 사이트’에 링크되어 있는 ‘지역지-인터넷’을 기준으로 할 때 5월 25일 현재 기사 누적 건수 1만 건이 넘는 곳은 수십 개 인터넷 언론사 중 고작 6곳에 불과했다.
창간 10년 이상의 노하우를 보이고 있는 성남일보(2만9천418건), 성남뉴스넷(2만8천906건), 도시신문(2만2천711건) 등이 2만 건 이상을 보이면서 월등히 앞서 나갔다. 이어 한성뉴스넷(1만5천281건), 탄천뉴스(1만681건), 분당신문(1만65건), 성남N(9천248건) 등이 1만 건을 넘거나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신문을 기준으로 봤을 때 창간이 앞선 곳은 26곳이다. 5곳을 제외한 나머지 21곳이 기사 1만 건을 채우지 못했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났을까. 원인은 바로 ‘무작정 창간하고 보자’는 식으로 너도 나도 인터넷 언론사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특히, 이 같은 현상은 이재명 성남시장이 등장한 민선 5기부터 창간이 봇물을 이루기 시작했다. 현재 성남시의회 홈페이지가 창간 순서대로 배열한 46곳(CNBNEWS 제외)을 봤을 때 17곳이 2009년 이전에 창간을 했고, 나머지 29곳은 2010년 이후에 나타났다.
수많은 인터넷 언론사의 창간 이유는 ‘광고비’ 때문이다. 처음에 성남시는 언론사의 광고비 기준을 세우면서 인터넷 언론사를 대상으로 몇 가지 기준을 마련했다. 그 중에 하나가 ‘창간 기준’이었다. 첫 해는 대부분 인터넷 언론사가 해당됐고, 이듬해는 창간 기준 2년을 적용했고, 그 다음해는 창간 기준 3년을 적용하면서 넓혀갔다. 진입 장벽을 3년이라는 긴 시간을 적용했음도 불구하고 인터넷 언론의 창간은 계속됐다.
결국, 신생 언론사에게는 많든 적든 3년만 지나면 광고를 청구할 수 있다는 것만이 행복할 따름이었다. 심지어 3년이상된 인터넷 언론사를 거래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성남시의 광고 지급 기준은 오로지 창간일 기준이기 때문에 언론사 명칭이 바뀌어도 적용은 변함이 없었다. 묵히는 것이 곧 돈이라는 공식이 성립하고 있다.
이러니 언론의 기본도 모르는 막가파식 창간이 봇물을 이뤘고, 보도자료를 그대로 베껴 망신을 당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기자 자질이 없는 사람이 기자인양 행세하다 추태를 부리는 일부(본지 4월 26일 기자수첩 ‘인터넷 기자들 왜 그러나?’ 참조) 인터넷 언론사가 구설수에 오르기도 한다. 사실상 언론이라기보다 가욋돈을 벌수 있는 ‘부업 수단’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최근 국내 유명 포털 사이트가 기사제휴에 대한 조건을 강화시켰다. 자체 생산기사를 강화시켜나갈 것을 요구하고, 기자의 숫자도 확대시켜 나가야 제휴를 체결하겠다는 엄포다. 아무 언론사와는 기사제휴를 하지 않겠다는 반증이다. 워낙 인터넷 언론사가 늘어나다 보니 고육지책으로 내 논 방안이다. 이미 진입한 언론사도 월 100꼭지 이상을 생산하지 않으면 퇴출시킨다는 강화책도 내놓고 있다.
비록 ‘복사와 붙이기’를 반복하는 언론사일지라도 최소한 읽어보고 고치는 수고로움은 거쳐야 한다. 성남시가 지불하는 광고비는 시민 혈세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최소한의 예의라고 생각된다. 성남시도 이상한 광고비 기준을 내놔 언론사를 서열화 하지 말고, 지난 2010년 11월 ‘지역언론 현황과 과제’라는 주제로 마련된 토론회에서 나온 ‘지역언론발전지원위원회’ 구성을 통해 지역언론에 대해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만들고, 지역언론 발전을 위한 지원제도를 논의해야 할 때이다.